4복음서에 나타는 열심당원은 우리나라에서 성서 번역본에 따라 열혈당원,혁명당원, 셀롯으로 나타난다.
그 의미는 <하나님의 편에서 열심인 사람>이다. 그러나 그들은 극히 폭력적으로 활동했다.
1. 열심당의 등장
요세푸스의 <유대고대사>에 따르면, 열심당은 정치조직으로, 기원후 1세기 유대 땅에서 바리사이파, 사두가이파, 에세네파와 나란히 한다. 열심당은 기원후 6년 구레뇨의 세법 개정에 반대하여 창설되었고, 갈릴리의 유다가 창시자로 간주된다. 갈릴리 유다의 두 아들 야곱과 시몬은 혁명에 참가하였고, 티베리우스 알렉산더에 의해 처형당했다. 티베리우스 알렉산더는 46부터 48년까지 유대지역의 행정장관이었다. 열심당원 시몬은 예수가 선발했던 사도이며,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에 이름을 올린다.
2. 열심당의 사회적 역할
열심당은 첫 번째 유대-로마 전쟁에서(기원후 66 년 - 73년) 주도적 역할을 했다. 열심당은 제사장 가족들이 신전을 운영하는 방식에 반대했다. 그들은 또한 로마를 내몰기 위해 노력했다. 요세푸스에 따르면, 열심당 지도자 기스갈라는 갈릴리에서 싸우다 예루살렘으로 도피했다. 그는 사람들을 광신적으로 발분 시켜, 70년까지 예루살렘을 점거했으나, 로마 황제 베스파시안의 아들 티투스가 70년에 예루살렘을 재점령하고, 도시와 신전(헤롯 신전)을 파괴했다.
시카리는 열심당에 속한 극단적 조직이었다. 시카리의 의미는 <폭력적 사람들> 또는 <칼 찬 사람들>이다. 역사가 Hayim Hillel Ben-Sasson에 따르면, 시카리의 근거지는 갈릴리였으며, 그들은 사회 혁명을 위해 투쟁했다. 시카리는 열심당에 속했지만 결코 열심당에 얽매지 않았다. 그들은 유대인의 거주지를 급습해, 배교자와 부역자로 생각되는 유대인을 죽이고, 유대인들이 대의를 위해 로마와 싸우도록 설득했다. 요세푸스에 의하면, 시카리는 첫 번째 유대-로마 전쟁 중에 살인적 공포 통치를 위한 기관을 설치했다. 아마도 많은 열심당이 동시에 시카리였을 것이다. 미시나에 등장하는 유대 지식인조차 시카리를 두려워했다.
3. 탈무드의 기록에 나타나는 열심당
탈무드에 따르면, 열심당은 종교적이지 않고, 종교 지도자를 따르지 않았다. 그들은 야비한 자, 거친 자, 무법자라고 불리고 공격적이었다. 열심당은 그들의 대의를 촉진하기 위해 양식 창고와 모임 장소를 급습하고, 로마인, 유대인 부역자, 그리고 사두개인들에게 폭력을 가했다. 그들은 포위된 예루살렘 사람을 구하기 위한 타협을 좋아하지 않았다. 랍비들은 평화조약을 원했으나, 그들은 무모한 군사행동을 했다. 이 모든 것들로 인해 그들은 비난받았다. 전통에 따라 랍비들은 열심당이 내전을 일으키기 전에는 반란을 지지했다. 그러나 열심당이 내전을 일으켰을 때는 이미 희망이 사라졌다. 로마인에게 저항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열심당은 예루살렘과 제 2 성전의 소멸에 기여했다. 바빌론 탈무드에 따르면, 열심당은 유대인들이 로마인들과 싸우도록 만들기 위해, 예루살렘에 있는 음식과 장작을 모두 불태웠다. 이 사건으로 Johanan ben Zakai는 예루살렘에서 탈출하여 베시파시안 황제를 만났고, 얌니아 학회의 설립으로 이어진 모임을 주도했다. 그 후 얌니아 학회는 랍비 유대교의 생존을 가져온 미시나를 생산하게 된다.
'믿음의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나님께서 주시는 저주가 있다면 ... (0) | 2025.03.22 |
---|---|
이 한 말씀만 붙잡고 살아도 (0) | 2025.03.21 |
사마리아인의 역사 (0) | 2025.03.19 |
누가 은혜받은 자 인가? (0) | 2025.03.18 |
영생은 지금부터 영원까지 (0) | 202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