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자료 124

구약 vs 신약 지역 비교 표

항목📖 구약 시대✝️ 신약 시대중심 지역가나안 (이스라엘 땅), 애굽, 바벨론, 앗수르유대, 갈릴리, 사마리아, 로마 제국 전역정치 체계부족 연맹 → 왕정 → 바벨론/페르시아/헬라 제국 지배로마 제국 식민 지배 하의 유대 지역대표 도시예루살렘, 사마리아, 여리고, 하솔, 바벨론, 니느웨, 수산성나사렛, 가버나움, 베들레헴, 예루살렘, 고린도, 에베소, 로마외국 제국이집트, 바벨론, 앗수르, 메대·바사, 헬라로마, 헬라, 갈라디아, 에베소, 빌립보, 고린도지리적 범위주로 팔레스타인과 메소포타미아, 이집트지중해 전역 (이스라엘, 시리아, 터키, 그리스, 이탈리아 등)강과 바다나일강, 유프라테스강, 티그리스강, 홍해갈릴리 호수, 요단강, 지중해, 사해선지자 활동 지역이스라엘과 유다 전역 (엘리야, 이사야, ..

기독교자료 2025.05.22

교회 정치

1.교회 정치의 종류1)교황정치-로마 카톨릭과 희랍 정교의 정치2)감독정치-감독교회와 감리교회3)자유정치-다른 회의 관할과 치리를 받지 않고 지교회 자유로 행정하함4)조합정치-자유 정치와 유사하나 다만 각 지교회의 대표로 조직된 연합회가 있음5)장로회정치-지교회 교인들이 장로를 선택하여 당회를 조직하고 그 당회로 치리권을 행사하게 하는 주권이 교인들에게 있는민주 정치,당회는 치리 장로와 강도 장로의 두 반으로 조직되어 지 교회를 주관하고 그 상회로는 노회 대회및 총회 이같이3심제의 치리회가 있다.2.교회 직원1)교회 창설 직원-예수께서 최초로 제자를 택하사 교회의 직원으로 삼으심2)교회 항존직-(1)목사-강도와 치리를 겸한 사람(딤전3:7)(2)장로-치리만을 하는 교인의 대표(3)집사*시무년한-70세3)..

기독교자료 2025.05.22

성경 속 대표적인 금식 사례

1. 👑 에스더의 금식 – 민족 구원을 위한 금식본문: 에스더 4:15–17배경: 하만의 음모로 인해 유대인 전멸 위기에 놓임.금식 명령: 에스더가 모르드개에게 “온 수산에 있는 유다 사람들을 모아 나를 위하여 사흘 밤낮 금식하라”고 함.특징:에스더 본인도 궁중의 여인들과 함께 금식."죽으면 죽으리이다"라는 태도로 왕에게 나아갈 준비.결과:아하수에로 왕의 마음이 열려 유다 민족 구원.하만은 몰락하고 모르드개는 승진.2. 🛐 느헤미야의 금식 – 무너진 성벽 회복을 위한 금식본문: 느헤미야 1:4배경: 예루살렘 성이 무너졌다는 소식에 큰 슬픔을 느낌.행동: “앉아서 울고 수일 동안 슬퍼하며 금식하고 하늘의 하나님 앞에 기도함.”목적: 죄를 자복하고 성을 다시 세우기 위한 지혜와 은혜 간구.결과: 왕의 총..

기독교자료 2025.05.21

바리새인과 사두개인의 특징 비교 분석

신약성경에는 종교적, 정치적 지도자들인 바리새인과 사두개인이 자주 등장합니다. 이들은 예수님의 공생애 기간 동안 주요한 종교 세력으로 활동하며, 예수님과 종종 대립했습니다. 두 그룹은 신학적, 정치적, 사회적 입장에서 큰 차이를 보이며, 성경과 역사적 기록에서 다양한 특징을 나타냅니다.유대교 지도층: 두 그룹 모두 유대교의 중요한 종교적 지도자 계층에 속했으며, 백성들에게 강한 영향력을 끼쳤습니다.율법 중심: 율법을 해석하고 지키는 것을 강조하며, 유대교 신앙의 중심을 이루었습니다.예수님과의 대립: 예수님의 가르침과 사역에 반대하며, 특히 예수님을 정죄하고 십자가형으로 몰아가는 데 주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종교적 열심: 율법 준수와 경건한 생활을 강조하며, 회당 중심으로 활동.구전 전통 중시: 성경 외에..

기독교자료 2025.05.09

사도행전 7집사

사도행전 6장에는 초대 교회가 사도들의 사역을 돕기 위해 성령과 지혜가 충만한 일곱 사람을 세운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들은 교회의 실질적 필요를 관리하며 복음을 확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온 무리가 이 말을 기뻐하여 믿음과 성령이 충만한 사람 스데반과 또 빌립과 브로고로와 니가노르와 디몬과 바메나와 유대교에 입교했던 안디옥 사람 니골라를 택하여(행 6:5)초대 교회에서 일곱 집사를 뽑게 된 배경은 사도행전 6장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교회의 구성원들이 증가하면서, 특히 헬라파 유대인들이 자기 과부들이 매일의 구제에서 소외된다고 불평을 제기했습니다(행 6:1). 사도들은 말씀 전파와 기도에 전념해야 할 책임이 있었기에, 직접 구제 사역을 관리하는 데 어려움을 느꼈습니다(행 6:2). 이에 ..

기독교자료 2025.05.08

사도들의 행적 정리(사도행전 1~12장)

사도행전은 사도 누가가 기록하였습니다기록목적은 복음의 전파가 어떻게 이루어 졌는지 알리기 위하여 기록 하였다고 합니다1장에서 12장 까지는 베드로와 요한 등 예수님의 제자인 사도들의 행적 중심으로 기록이 되어있고13장 부터는 바울의 전도여행을 중점적으로 기록이 되어있습니다오늘 포스팅을 바울의 전도여행 전까지 사도들의 이야기를 정리하여 올립니다 사도행전시대 이스라엘 근방지도(출처 : 성서문화교육원)사도행전 1장예수님 승천(6~11) – 제자들에게 열방으로 제자 삼으라고 명하심새로운 사도 뽑음(12~26) – 가롯유다 대신 열두번째 사도 맛디디아를 재비로 뽑음사도행전 2장오순절 성령강림(1~13) – 1장4장 예수님의 명령에 따라 예루살렘에 기도하며 기다려 예수님 승천후 10일 뒤에 (이날은 오순절) 마가의..

기독교자료 2025.05.01

한국의 주요 교파와 특징

교파대표 교단특징장로교 (개혁파)예장(합동), 예장(통합), 예장(고신), 합신 등- 한국 최대 교파- 칼빈주의(개혁주의) 신학- 장로제(회의 중심) 운영- 보수(합동) vs 중도(통합) 성향 차이 있음감리교 (웨슬리안)기독교대한감리회 (기감)- 존 웨슬리 신학(아르미니안주의: 자유의지 강조)- 감독제(감독이 교단을 리드)- 예배가 비교적 자유롭고 따뜻함침례교기독교한국침례회 (기침)- 신자의 신앙고백을 통한 세례 강조- 교회의 자치(독립) 중시- 복음주의 색채 강함성결교기독교대한성결교회 (기성), 예수교대한성결교회 (예성)- 중생·성결·신유·재림 4대 교리 강조- 감리교 영향을 받았으나 성결(holiness)운동 강조- 성령운동 활발순복음/오순절교회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 (순복음), 하나님의성회(기하성)-..

기독교자료 2025.05.01

속건제(贖愆祭) (The Guilt Offering)

1) 속건제의 뜻사람이나 성물에 대한 ( 불경죄 )를 사함 받기 위한 제사이다. (레 5:1-19, 6;1-7)속건제는 히브리어로 “아솸” 인데 영어의 “Guilt"에 해당되며,“과오(過誤)를 저지르다” “침해(侵害)하다” 라는 의미이다.하나님께 받친 [성물]에대한 불경스런 죄에 대한 죄 용서 받기 위한 제사이며,또한, 다른 사람의 권리나 재산을 침해(侵害)한 사실에 대하여 책임을 느끼고보상(報償)하며, 용서를 구하는 제사이다.그래서, 여기는 배상법(賠償法)이란 것이 따라온다.2) 속건제를 드려야 하는 경우는 두 가지로 나누인다.(A) 여호와의 성물(聖物)에 대한 죄 (레 5:15-16)가) 그 진정한 가치를 따라 성소의 세겔로 몇 세겔 은에 상당한 흠 없는수양을 떼 중에서 끌어다가 속건제로 드려서 성물..

기독교자료 2025.04.29

소제(素祭) (The Grain Offering)

★ 소제(素祭) (The Grain Offering)소제는 유일하게 곡물로 드리는 피 없는 제사이다.(레 2:1-16)소제는 히브리어로 “민하” (minchah)인데 선물, 헌물을 의미한다.이것은 특별히 하나님의 은혜에 감사해서 자발적으로 드리는 제사이다.소제는 고운 밀가루(1절), 무교전병, 밀가루로 구운 떡(4절), 솥에 삶은 것(7절),처음 익은 곡식 볶은 것(14절) 등을 기름, 향, 소금과 함께 드렸다. (레 2:1-16)소제는 단독으로 드리지 않고, 번제(출 29:38-42)나 화목제(레 7:11-13)와 함께 드려졌다.1) 소제(素祭)의 의미(1) 중보자, 예수 그리스도를 기억하라는 것이다.모든 정성을 다해 준비한 예물이지만 자기 자신이 드릴 수 없다.제사장을 통해서 드려지는 것이다.우리는 ..

기독교자료 2025.04.28

70인역에 대하여

1세기 예수님과 제자들은 어떤 성경을 읽었을까?우리는 흔히 히브리어(유대어)로 쓰인 구약성경을 생각하겠지만 아니다. 예수님과 그 제자들은 헬라어로 쓰여진 소위 '70인역'이라고 불리는 헬라어 성경을 읽었다. 또한 신약성경에 인용된 구약성경 또한 히브리어 성경이 아닌 또한 이 70인역 성경이다.1) 어떻게 생겨나게 되었는가?1-1 유대인의 필요유대가 망하고 팔레스타인 지역 밖으로 흩어진 유대인들은 2대, 3대가 지나면서 이방인들과 동화되기 시작했다. 따라서 유대인들은 이방의 문화와 언어를 받아들이면서, 세대를 거듭할수록 히브리말을 하지 못하게 되었다. 또한 히브리어로 쓰여진 성경 또한 읽기 어려워졌다. 그렇기에 유대인들은 자신의 자녀들이 신앙도 잃을 수 있다는 염려가 생겼고, 당시 공용어였던 헬라어로 성경..

기독교자료 2025.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