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자료 130

"성령의 인치심(Sealing of the Holy Spirit)"

I. 성령의 인치심 (Sealing of the Holy Spirit)성령의 인치심은 믿는 자들이 하나님의 자녀임을 확증받고, 하나님의 소유로서 성령의 보증을 받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구원받은 자가 하나님께 속했음을 나타내며, 하나님의 약속과 구원의 완성을 보증하는 중요한 신학적 개념입니다.II. 신학자들, 성령의 인치심에 대한 견해어거스티누스 (Augustine)어거스티누스는 성령의 인치심을 하나님의 구속적 약속과 은혜의 표시로 보며, 성령이 성도들 안에 내주하여 하나님의 소유로서의 증표를 준다고 설명했습니다.존 칼빈 (John Calvin)칼빈은 성령의 인치심을 성령이 성도 안에 거하시며 구원의 확신을 주는 내적 증거라고 보았습니다. 이는 성령의 역사로 믿는 자가 하나님께 속했음을 알게 하는 은혜..

기독교자료 2025.04.02

예수님 당시의 유대교 종교 체제

예수님이 활동하셨던 1세기 유대교는 성전 중심의 예배 체제와 회당 중심의 율법 교육이 공존하는 시대였습니다. 이 체제는 유대교의 종교적 권위 구조, 제사 및 예배 방식, 율법 해석, 종파, 종교 지도자들의 역할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1. 유대교의 종교적 권위 구조예수님 당시 유대교의 권위 체계는 크게 예루살렘 성전과 산헤드린 공회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습니다.(1) 예루살렘 성전과 제사장 체계① 성전의 중심성예루살렘 성전은 유대교의 종교적 중심지였으며, 유일한 공식적인 제사 장소였습니다(신 12:5-6).성전에서의 제사는 유대교의 가장 중요한 종교 행위였습니다(출 29:38-42).1세기 당시 헤롯 성전(제2성전)이 있었으며, 유대인의 최대 종교 행사인 유월절, 오순절, 초막절 때 많은 순례자들이 성전..

기독교자료 2025.03.29

회개란 무엇인가?

회개(悔改, Repentance)란 무엇인가?회개는 단순한 감정적인 후회가 아니라, 죄에서 돌이켜 하나님께 나아가는 근본적인 변화입니다.성경에서 회개는 헬라어 **“메타노이아(μετάνοια)”**로 표현되며,이는 **“생각과 마음을 바꾸는 것”**을 의미합니다.즉, 단순히 죄를 슬퍼하는 것이 아니라, 죄를 미워하고 버리며 하나님께로 돌아가는 전인격적인 변화를 의미합니다.1. 회개의 성경적 정의성경에서 회개는 죄를 깨닫고 하나님께로 돌이키는 것을 의미합니다.구약과 신약에서 회개의 개념을 살펴보겠습니다.1) 구약에서의 회개• 히브리어 “슈브(שׁוּב, shub)” → “돌아가다, 방향을 바꾸다”• 죄에서 떠나 하나님께로 돌아가는 개념• 예:• “너희는 악한 길에서 떠나 하나님의 길로 돌아오라” (겔 18..

기독교자료 2025.03.28

구약성경에 나오는 산(mountain)과 사건 요약

1. 아라랏 산 (Mount Ararat)**​**성경 구절:창세기 8:4 – “일곱째 달 곧 그 달 십칠일에 방주가 아라랏 산에 머물렀으며”사건 요약:하나님께서 노아 시대에 홍수를 내리셨고, 방주가 홍수가 끝난 후 아라랏 산에 머물렀다. 이는 하나님의 심판과 구원의 상징이다.현재 위치:터키 동부와 아르메니아 국경 근처2. 모리아 산 (Mount Moriah)**​**성경 구절:창세기 22:2 – “여호와께서 가라사대 네 아들 네 사랑하는 독자 이삭을 데리고 모리아 땅으로 가서 내가 네게 지시하는 한 산 거기서 그를 번제로 드리라”역대하 3:1 – “솔로몬이 예루살렘 모리아 산에 여호와의 전 건축하기를 시작하니”사건 요약:아브라함이 하나님의 명령을 받아 아들 이삭을 번제로 드리려 했던 장소.후에 솔로몬 ..

기독교자료 2025.03.27

성경 인물의 가계도 족보, 혈통

아브라함→이삭→야곱→유다→베레스→헤스론→람→아미나답→나손→살몬→보아스→오벳→이새→다윗→솔로몬→르호보암→아비야→아사→여호사밧→요람→웃시야→요담→아하스→히스기야→므낫세→아몬→요시야→여고냐→스알디엘→스룹바벨→아비훗→엘리아김→아소르→사독→아킴→엘리웃→엘르아살→맛단→야곱→요셉예수→요셉→헬리→맛닷→레위→멜기→얀나→요셉→맛다디아→아모스→나훔→에슬리→낙개→마앗→맛다디아→서머인→요섹→요다→요아난→레사→스룹바벨→스알디엘→네리→멜기→앗디→고삼→엘마담→에르→예수→엘리에서→요림→맛닷→레위→시므온→유다→요셉→요남→엘리아김→멜레아→멘나→맛다다→나단→다윗→이새→오벳→보아스→살몬→나손→아미나답→아니→헤스론→베레스→유다→야곱→이삭→아브라함→데라→나홀→스룩→르우→벨렉→헤버→살라→가이난→아박삿→셈→노아→레멕→므두셀라→에녹→야렛→마할랄렐→가..

기독교자료 2025.03.22

홍해

1. 세 곳의 홍해​1) 구약에서 '홍해'는 세 곳이다. 첫째로는, 현재의 홍해 북동 지류 아카바만을 말한다. 현재의 홍해는 시나이 반도를 사우디 아라비아와 분리시킨다. 고대에 이 만은 이스라엘 남동 접경(출 23:31), 에돔의 남서 접경(렘 49:21)이었다. '홍해 길'은 분명히 가데스 바네아에서 에돔으로 가는 도중에 있는 북쪽 대로였다(민 14:25, 21:4 ; 신1:40, 2:1). 항구 에시온 게벨에서 솔로몬은 두로왕 히람의 도움을 받아 상선단을 발진시켰다. 이 상선단은 아프리카와 아라비아 해안을 따라 3년 동안의 항해 후에 금, 은, 상아, 백단목, 보석, 원숭이, 공작들을 가져왔다(왕상 9:26이하 ; 왕상 10:11이하).2) 둘째로는 시나이 반도와 에집트 사이의 홍해 북서 지류인 수에..

기독교자료 2025.03.17

[아가페] 하나님의 사랑과 필레오(우정), 그리고 에로스

아가파오(ἀγαπάω)는 '사랑하다'필레오(φιλέω)는 '우정을 나누다'우리말과는 달리 외국어는 동사의 변화나 여성, 남성과 같은 성별에 따라 변화하는 단어 등 독특하면서도 우리 말에는 없는 다양성이 존재한다. 그것이 외국어를 배우는데 있어서 우리에게는 낯설뿐만 아니라, 힘들게 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신약성경을 기록한 헬라어로 '사랑'이라는 단어도 세 개나 된다는 사실이 우리를 당혹하게 한다. 그래서 주석을 참고하여 그 단어들을 정리해 보았다.• 아가페 사랑"사랑하지 않는 사람은 하나님을 모릅니다. 이것은 하나님이 사랑이시기 때문입니다."(요한일서 4:8)'사랑'의 헬라어 '아가페'는 요한복음에서 가장 중요한 단어들 중의 하나로서, 하나님 편에서 선수권(先手權)과 주도권(主導權)을 가지고 인생의 연약..

기독교자료 2025.03.15

구약이해 자료들

성경의 중심 : 레위기(율법) - 옛 언약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 언약을 맺은 분(주체)이 어떤분이냐?근원까지 소급해 올라감 거룩한 언약을 맺게 된 과정을 역사적으로 기술한 것 율법 레위기대로 훈련한 책광야에서 시험 레위기의 해석설교-모압평지(졸업식) 여호수아 역사서(12권) 시가서 예언서 가나안(약속의) 땅 차지 언약 실천 여부 기록-복과 저주의 기록 언약대로 살아서 은헤와 복 받은 자들의 노래.지혜 언약 위반에 대한 저주를앞장서서 말하는 자 -책망하기 위해서 1). 시리아, 이라크와 이란 지역에 대한 용어(1) 메소포타미아(meso+potamia)-창 24:10 (2) 밧단 아람 (Paddan Aram) -창 25:20 (3) 아람 (Aram)-창 31:20,24(4) 아랍 (Arab)..

기독교자료 2025.03.14

사순절(四旬節, Lent)이란?

사순절(Lent)은 예수 그리스도의 고난과 죽음을 묵상하며 회개와 절제를 실천하는 기간으로, **부활절 이전 40일간(주일 제외)**을 의미합니다. 사순절은 죄를 회개하고 금식과 기도를 통해 예수님의 십자가 희생을 깊이 묵상하는 시기로, 많은 교회에서 특별한 경건 훈련을 실천합니다.① 사순절의 유래와 역사사순절의 기원은 초대 교회에서 예수님의 부활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비롯되었습니다.4세기경: 교회가 공식적으로 사순절을 정착시켰으며, 예수님께서 광야에서 40일간 금식하신 것(마 4:1-11)을 본받아 40일간의 기간을 정함.라틴어 ‘Quadragesima’(40일)에서 유래, 영어로는 ‘Lent’라고 불림.사순절은 중세시대부터 본격적으로 기독교 전통에서 지켜지며 절제와 회개의 의미를 강조.② 사순절의 기간..

기독교자료 2025.03.09

성경에 등장하는 마귀의 개념

디아볼로스-[형용사] 비방적인, 중상적인 slanderous. [명사]중상자, 비방자 slanderer, 마귀 devil.1. 구약성경70인 역본에서 디아볼로스(diabolos)는 21회 등장한다(그 중 13회가 욥 1장과 욥 2장에 나온다). 에 7:4과 에 8:1('적대자' adversary를 의미하는 히브리어 차르와 초레르의 역어로 사용되었음)을 제외하고는 언제나 이 단어가 히브리어 사탄의 역어로 사용되었다. 히브리어 사탄은 3회 그저 사탄으로 음역되기도 하였다(왕상 11:14; 왕상 11:23a; 왕상 11:25b). 아람어 형태는 사타나(satana)이다.구약성경에 나오는 사탄은 '적대자' adversary 또는 '악한 상대' wicked opponent를 의미한다. 삼상 29:4에서는 사탄(S..

기독교자료 2025.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