믿음의좋은글

아모리(Amorite)

대 덕 2025. 3. 23. 10:55

1. 아모리 민족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아모리 민족이 어떻게 생겨났는지에 관해선 남아있는 고고학적 자료들이 없다. 성경 속에는 가나안의 아들인 아모리로부터 시작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원래 '아모리'라는 뜻은 셈계 서쪽 사람들을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는데 이들은 BC 2500년경부터 메소포타미아 지역 전 범위로 침입하여 고대 바빌로니아(함무라비), 우무루 왕국(현재의 시리아 근처) 등을 세웠다고 한다.

또 아모리 민족의 일파 중 하나는 가나안(팔레스타인) 땅에도 침입하여 성읍을 쌓고 살았으며 이들은 주로 산악 오지에 정착하였다고 전해진다. 따라서 이미 정착한, 그리고 팔레스타인 지방의 대다수였던 후리족(인도계) 주민들과 함께 뒤섞여 중기 청동기 문화의 일익을 담당하며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2. 가나안 땅 정복과 아모리 민족
아모리족은 가나안 토착 민족들과 거의 동화되어 살았으며 가나안 땅 정복즈음에는 정복되지 않은 요단 동편 민족들을 통칭하여 아모리 사람들이라 불렀다(사실 이쯤 되면 가나안 인과 아모리 인을 구분하기가 어렵다.).

또한 요단 동편의 성읍들을 '아모리 사람들의 왕국(수도 : 헤스본 / 아모리 왕 시혼이 모압인들을 몰아내고 수도로 삼았다)'으로 통칭하여 불렀다. 이 때에 아모리 왕 시혼은 그레못 광야에서 이스라엘 민족의 길을 허락하지 않았고 오히려 군사를 이끌고 나오다 잡혀 죽었다고 한다(민 21).

이후 이스라엘 민족이 요단강을 건너자 아모리 왕국의 5왕이 연합하여 맞서 싸운다. 그러나 우박에 맞아 대패하고, 5왕은 잡혀 죽는다(수 10). 가나안 땅 점령 이후 팔레스타인 지역의 아모리인들은 이스라엘 민족과 평화적인 관계를 맺고 살았으며(삼상 7:14) 솔로몬 시대에 가서는 이스라엘 왕국의 노예가 되었다고 한다(왕상 9). 종교적으로는 다신교적이라 여러 우상 신을 섬겼으며 이로 인해 성경에서 갖은 책망을 받던 민족 중의 하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