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용어자료 61

구속(救贖), 대속 (代贖), 속죄 (贖罪), 속량 (贖良)의 의미

영미에서는 신학용어가 매우 잘 정리되어 있어 신학을 이해하기가 수월합니다. 하지만 한국의 경우 복잡하고 어려운 한자식 조어들과 영어 단어들이 혼재되어 있어 신학 개념의 이해를 방해하는데 주된 역할을 합니다. 구속(救贖), 대속 (代贖), 속죄 (贖罪), 속량 (贖良), Redemption, Atonement, Ransom이라는 단어는 신학용어로 너무나도 자주 등장하는 용어입니다. 하지만 이 용어들의 정확한 의미를 모두 파악하고 계시나요? 오늘은 간단하지만 매우 중요한 이 단어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위의 단어는 사용에 있어 약간의 차이가 존재하지만, 모두 유사한 뜻을 지닌 단어입니다. 구속(救贖) ≒ 대속 (代贖) ≒ 속죄 (贖罪) ≒ 속량 (贖良) ≒ Redemp..

'영안'(靈眼)

영(靈), 영혼(靈魂), 영안(靈眼)에 대하여 많이 거론되어 성경에 기록된 것을 살펴보면, '영적인 눈'이나 '영안'이란 말은 성경에 없다. '영안'에 대해서는 그와 관련되는 성경 말씀을 인물의 사례를 중심으로 객관적인 기술이 되고자 하였다. 부족한 부분을 함께 보완하는 장이 되었으면 한다. 1. '육신의 눈', '마음의 눈', '영적인 눈'의 관계 마태복음 6장 22절에 눈은 몸의 등불이라고 했다. 그러므로 ‘볼 수 있는 눈’을 가지게 되는 것이 참다운 복인 것이다(마 13:16). 그런데 눈은 표면적인 물체를 인지하는 '육신의 눈'(마 7;3 행 9:8~9)과 내면적인 정신을 통찰하는 '마음의 눈'(행 9:4~5 엡 1:18 히 12;2) 두 가지로 구별할 수 있다. 인격의 중심인 ‘마음'은 하나님과..

성경에 (없음)이란 구절이 왜 있나요?

(없음) 구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성경 사본과 장절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1. 성경 장절을 나눈 사람 장을 나눈 사람 – A.D 1200년경 캔터베리 주교 스티브 랭턴 절을 나눈 사람 – A.D 1600년경 파리 출판업자 로베르 에띠엔느, 라틴어 이름 스테파누스 2. 성경 사본 성경원본은 없어졌기에 사본만 존재함. 소문자 사본은 주후 9세기 이후 처음 제작됨. (대문자 사본이 오래되었을 가능성 높음) 대문자 사본이 더 권위가 있음. 3. 성경에 (없음)이 있는 이유 출처: 민경식, 『신약성서, 우리에게 오기까지』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9), 160-164. 스테파누스 때문, 그가 장절을 붙일 당시에는 본문이 있었기에 절 표절을 했다. 그런데 본문비평 연구 결과 후대의 것으로 판명이 되고 본문이..

평강, 평안, 평화, 화평 ㅡ에이레네

우리 성경에는 평강, 평안,평화, 화평의 4 가지로 번역 되어 있지만 원문은 한 단어이다 '에이레네' 즉 '샬롬'이다. 예수님은 우리에게 샬롬을 주시기를 원하신다. '팍스'도 평안인데 이것은 세상적인 평안, 조건적인 평안이다. 즉 병이 나아서 평안, 돈이 많아서 평안 등... 그러나 샬롬은 병들었어도, 가난해도, 고통 중에도 조건과 상관 없이 평안을 누리는 것이 샬롬 이다. 예수님이 내가 평안을 너희에게 끼치노니 이는 세상이 주는 것과 다르다고 말씀 하심 예수님의 샬롬(평안) vs 로마의 팍스 로마나(PAX ROMANA) 팍스 로마나(Pax Romana)는 로마의 평화라는 뜻입니다. 그런데 이 PAX라는 단어는 어떤 조건이 이루어져야 하는 평화입니다. 4가지 조건입니다.​ 정치적인 안정 경제적인 안정 민..

그리스어(헬라어) 알파벳과 발음

- 그리스어에는 고대 그리스어와 현대 그리스어가 있는데, 그리스 땅에서 일상적으로 말해지고 있는 것은 "디모띠끼"라 불리는 현대 그리스어이다. 그러나 지금도 이따금 고대 그리스어가 사용되는 예도 있다. - 원래 고대 그리스어란 고대 그리스의 도시국가에서 시작되어 슬라브에서 영어에 이르기까지 유럽 세계의 모든 언어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언어이다. - 1828년 터키의 기나긴 지배로부터 나라를 되 찾은 이래 그리스어는 "카사레부사(기록하는 언어" 와 "디모띠끼"(말하는 언어)"라는 두가지 언어 체계로 나뉘어 있 다. 그렇게 십수년이 지나면서 너무 복잡하여 사회생활에 지장이 많게 되자 현대 그리스어인 "디모띠끼" 한가지로 통일해 버렸다. - 고대 그리스 연극등은 지금도 극중의 대화에 당시의 언어들이 사용되고..

여호와 이례,삼마,에벤에쎌,샬롬,여호와 라파

▶여호와 이레 (JEHOVAH-JIREH) ' 여호와께서 준비 (예배) 하심' 이란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브라함이 여호와의 명령을 따라 모리아산으로 가서 아들 '이삭'을 번제로 바치려고 준비 한 곳에 붙여진 이름(창 22장 14절)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을 시험하시려고 아들 '이삭'을 모리아땅의 한 산으로 가서 번제로 드리라고 합니다 ​이에 아브라함은 순종하여 아침 일찍 두 종과 아들 '이삭'을 데리고 삼일동안 모리아산으로 갑니다 ​모리아산에 도착 즈음에 종들과 나귀는 산 아래에 기다리게 하고 아들 '이삭'과 둘이 산을 오르기 시작합니다 ​'이삭'이 아브라함에게 묻습니다 '불과 나무는 있는데 번제할 양은 어디 있습니까?' ​아브라함은 답합니다 '하나님께서 자기를 위해 준비하셨다' 하나님께서 일러주신 곳에..

성경에 기록된 단어의 뜻

가나(Kanah)의 뜻은 "갈대"라는 뜻 가나안(Canaan)의 뜻은 "자색", "낮은 지대"이라는 뜻 가드(Gath)의 뜻은 "복", "행운"이라는 뜻 가띠(Gadi)의 뜻은 "행운"이라는 뜻이다. 가띠엘(Gaddiel)의 뜻은 "하느님의 군대"라는 뜻이다. 가르멜산(Carmel)의 뜻은 "동산", "과수원"이라는 뜻 가리웃 유다(이스가리웃 유다)(Iscariot Judas)의 뜻은 "가리웃 사람 유다"라는 뜻이다. 가믈리엘(Gamaliel)의 뜻은 "하느님의 상급"이라는 뜻이다. 가브리엘(Gabriel)의 뜻은 "하느님의 영웅"이라는 뜻이다. 가아담(Gatam)의 뜻은 "빈약한"이라는 뜻이다. 가톨릭(Catholic)의 뜻은 "보편", "보편적인"이라는 뜻이다. 가파르나움(Capernaum)의 뜻은 ..

믿음이란 무엇인가

헬라어에는 믿음에는 세 가지 용어가 있다. faith와 trust'나 혹은 'believe ① 동사“피스튜오 pisteno”(believe, trust) ② 명사“피스티스 pistis”(faith) ③ 형용사“피스토스pitos” “피스튜오 pisteno”4100 (believer, believe, trust) “믿는 자, 믿다”는 헬라어로“피스튜오pisteno”을 말하는데“신뢰. 신용”을 말하는“피스티스pistis”에서 유래한 것으로“믿다, 확신하다, 신용하다, 신뢰 하다”를 말한다. 하나님이 하신 것을 전적으로 신뢰하고 받아드리는 믿음, 즉 그분을 신뢰하는 것을 말한다. 이 믿음은 하나님이 하신 것을 신뢰하고 자신을 위탁하는 믿음을 말한다. 믿음은 어둠속으로 뛰어드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가장 확실한 ..

기독교 용어, 바르게 사용합시다.

주제 그릇된 용어 바른 용어 기도 당신 하나님, 하나님 아버지 기도드렸습니다(기도하였습니다) 기도드립니다(기도합니다) 주여, 하나님 아버지시여 주님, 하나님 아버지 우리 성도님들이 저희들이, 교회의 권속들이 대표 기도 기도 인도 사랑의 예수님 (기도 첫 호칭으로) 사랑의 하나님 참 좋으신 하나님 거룩하신, 은혜로우신, 전능하신 진실하신, 자비하신...하나님 지금도 살아계신 하나님 사용 불가 중보 기도 중보적 기도, 이웃을 위한 기도 예배 예식 사회자(예배시) 인도자 성가대 찬양대 주님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 사용불가 대예배 주일예배 열린예배 열린집회 예배 봐준다 사용불가 준비찬송 사용불가 예배/예식/기도회 구별사용 헌금 봉헌 축제 잔치 (때에 따라, 절기행사, 축하행사) 하나님의 축복 하나님! 축복하여 주..

의(義)

한문 ‘의(義)’자는 ‘양(羊)’과 ‘아(我)’의 합의문자(合意文字)로, ‘羊’은 훌륭한 가죽옷을 의미하며, 그것으로 나의 몸을 단정히 한 모습이다. 즉 위의(威儀) 바른 모양을 말하며, 위의를 갖추면 나쁜 짓을 하지 않고 바른 길을 걷게 된다. ‘의’는 ‘인(仁)’과 함께 거론될 때가 많다. ‘인’은 사랑의 마음이라서 부드러운 느낌이나, ‘의’는 이에 비해 다소 딱딱한 느낌을 준다. 공자(孔子)는 인을 매우 강조하였으나 맹자(孟子)는 인의를 함께 다루었다. 맹자가 살았던 전국시대(戰國時代)는 사회적으로 매우 혼란한 시대여서, 온정주의인 인(仁)만으로써는 모범을 보일 수가 없었기 때문에, 인애(仁愛)와 함께 의로써 절도 있고 올바른 행위를 시키는 것이 사회적으로도 필요했을 것이다. 의는 인간이 당연히 행..